파이프라인 만들기/주식 투자

[투자일기 2] 나락장을 맞이하는 주린이의 자세

프로제이 2022. 1. 25. 18:58
반응형

 

 2021년 하반기부터 꾸준히 주식과 코인의 하락장을 맛보고 있는 주린이는,

최근 나락장이라는 게 이런것인가를 배우고 있는 중이다. 

 

현재 전 종목이 파란나라를 여행 중이며 평균 손실률 약 -20%를 경험 중. 

그나마 아직까지 살아남은 것은 원유선물 ETF. 

 

지난 2020년 코로나19 시작 때의 하락장을 겪은 분들은,

일부 이미 맷집이 생긴 분들도 있는 것 같지만, 

파란 나라는 언제 봐도 기분이 좋지는 않을 것 같다 ㅠㅠ 

 

공포가 극에 달해가는 지점인 것 같으나, 

누군가의 말을 빌리자면, 

바닥인 줄 알았는데, 지하실이 있더라는 말을 깊이 새기면서 

섣부른 판단보다는 나의 기준을 찾아가는 시간을 가져야겠다. 

 

그리고 현재의 하락장의 원인과, 하락 기간 동안 어떻게 대응을 할 것인가에 대해 간단히 메모해두자. 

 

2022년 1월 현재 주식시장 리스크 요인

- 글로벌 경기 회복세 둔화 

- 미국의 금리 인상 및 긴축 재정 돌입 예정

- 러시아-우크라이나 위기 

- 미-중 무역 전쟁

- 코로나19 및 변이의 지속 

기타 등등이 있겠지만 나의 지식 정보는 이 정도 'ㅅ' 

 

하락장에 임하는 주린이의 자세 

- 꾸준히 국내 및 국제 시장의 변화 및 이슈 살펴보기 

- 세상이 망하지 않는 한, 언젠간 오를 주식은 다시 오른다는 생각. 

  그러므로 개인적으로 확신있는 종목은 이 기회에 꾸준히 매집할 계획. (feat. 애플, S&P ETF 등) 

- 회복세가 올 때까지 부족한 지식 충전하기. (다양한 경제 용어, 매입 종목 분석, 그 외 성장 및 가치주 찾아보기 등)

- 타이밍을 봐서, 현재 보유한 주식 중 일부 정리하기. (feat. 카카오 - 과도한 물적분할 상장과 오너리스크로 앞으로의 성장이 있더라도 신뢰감 하락..) 

돈의 속성(저자: 김승호) 중에서

 

번외

최근 주식투자를 통해 모럴해저드라는 것을 체감하게 되었다. 

사회적, 환경적, 인간적으로 부정적인 이슈임에도 불구하고, 

일부 내가 투자한 종목이 상승하면 좋아하는 나의 모순된 모습을 보면서 이런 게 바로 내로남불인가라는 생각이 든다.

 

친환경을 생각하면서 원유에 투자를 하고,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으로 두려움과 걱정이 되면서도, 그로 인해 한동안 원유 주가는 괜찮을 거라 안심하는 나란 사람

적어도 내가 생각하는 삶의 가치와 철학이 돈에도 반영이 되어야 하지 않을까?? 

어렵지만, 철학있는 투자자가 될 수 있도록 더 공부하고 작은것부터 실천해 나가봐야겠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