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프라인 만들기/주식 투자

글로벌 메타버스 ETF 알아보기 (종류 비교, 시세, 전망)

프로제이 2022. 1. 5. 11:11
반응형

본 내용은 개인의 기록용으로, 투자에 대한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오늘은 개인적으로 최근 가장 많은 관심이 가는 분야인 '메타버스' 관련 종목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이제 메타버스에 대한 기본 개념에 대해서는 거의 모르는 분들이 없을 거란 생각이 드는데요. 

*메타버스(Metaverse) : 사회, 경제, 문화 활동이 현실세계가 아닌 가상공간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일컫는 말로 '가상', '초월'을 의미하는 Meta와 우주를 의미하는 Universe의 합성어. (1992년 닐 스티븐슨의 '스노 크래시' 소설에 처음 등장한 개념이다.)

이미 가상오피스, 가상 영화와 드라마 등 실 생활에도 적용이 되고 있고, VR 등의 개발로 앞으로 얼마나 더 우리 생활에 깊숙히 파고들지 기대가 되는 반면에, 일부에서는 실제로 상용화 되기에는 한참 먼 미래의 이야기라고 보는 시각도 있는 것 같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앞으로 메타버스가 더욱 트랜드가 될 거란 생각이 듭니다. 

그래서 메타버스 관련주들을 알아보지만, 정말 다양한 종목들로 구성되어 있어 선뜻 선택이 어려웠습니다. 

그럴때 가장 간편한 투자 방법이 ETF가 아닐까 싶습니다. 

 

그리고 지난 2021년 12월 22일, 국내의 4개 자산운용사에서 드디어 글로벌 메타버스 관련 ETF 를 내놓았는데요.

운용사별 ETF의 특징들을 간단하게 정리해보았습니다. 

 

글로벌 메타버스 ETF 종류

  TIGER 글로벌메타버스액티브(412770) KODEX 미국메타버스나스닥액티브(411420) 네비게이터 글로벌메타버스테크액티브(411050) KTSTAR 글로벌메타버스Moorgate(411720)
Type 액티브 ETF 패시브 ETF
운용사 미래에셋 삼성자산운용 한국투자신탁운용 KB자산운용
시가총액 1,833억원 1,163억원 248억원 125억원
기초지수 Indxx Global Metaverse 지수 Nasdaq Yewno Metaverse Index Bloomberg Global Digital Media&Tech Select PR Index KRW Global Metaverse Index
구성종목 * 아래 별도 내용 참고 
정기변경 연 1회 연 2회(6월/12월) 종목교체: 연2회,
비중변경: 연4회
연 1회(7월)
총보수(수수료) 0.79% 0.50% 0.50% 0.50%
현재가
(2022.01.04 기준)
10,340원 10,120원 10,335원 10,445원
거래량
('22.01.04
기준)
5,644,137 2,856,377 289,617 578,456
*패시브 ETF: 나스닥, S&P, 코스피 등의 지수를 추종하는 ETF. 각각의 지수들의 구성종목 그대로 이루어진 ETF입니다. 즉, 펀드매니저의 의견이 개입되어 있지 않으며, 수익률은 기초지수의 흐름과 비슷하게 움직인다고 보면 됩니다. (안정성, 투명성) 

*액티브 ETF: 패시브 ETF와는 달리, 각 운용사의 능력에 따라 종목을 구성하게 됩니다. 따라서 운용사가 얼마나 종목들을 잘 골라 담느냐에 따라 수익률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즉, 지수가 오르더라도 해당 ETF가 반드시 따라서 상승하는 것은 아니지만, 반대로 종목을 잘 고른 ETF일 경우 보다 더 고수익을 얻을 수 있는 투자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탄력적, 비교지수+a 수익 추구 가능)

운용사별 구성종목

구성종목의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종목들을 보면, 대부분 S&P 500을 구성하는 종목과 유사한 것 같기도 합니다. 그만큼 테크 기업들이 강세라는 의미겠지요. 하지만 메타버스 ETF인만큼, 메타버스에 보다 더 치중된 기업들로 추려진 구성으로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각 운용사마다 동일한 종목이라도 비중을 달리하고 있어, 개인의 선호도를 보다 더 잘 반영한 운용사의 ETF로 선택을 하면 될 것 같습니다. 

 

TIGER 글로벌메타버스액티브(412770)

메타버스 관련 산업이 매출의 50%가 넘는 기업들 중 시가총액 상위 50 인 종목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KODEX 미국메타버스나스닥액티브(411420)

상품명에서 알 수 있듯이, 다른 상품들과 대비하여 오로지 미국 기업으로만 구성이 되어 있습니다. 

또한, 미국의 빅테크 기업의 비중이 높은 것이 특징이라 비교적 안정적인 테크투자에 치중된 것으로 보입니다. 

네비게이터 글로벌메타버스테크액티브(411050)

Bloomberg사가 분류한 메타버스 관련 산업군의 시총 상위 200여개 종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KBSTAR 글로벌메타버스Moorgate(411720) 

다른 3개의 ETF와 달리 유일한 패시브ETF로, Moorgate Benchmarks에서 산출된 글로벌 메타버스 지수를 추종하는 ETF입니다. 따라서 ETF의 구성종목은 기초지수의 구성종목 및 구성 비율과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습니다. 

 

Top10 종목 리스트

 

정리

위와 같이 간단하게 글로벌 메타버스 ETF의 운용사별 비교 정보를 알아보았는데요. 

메타버스에 투자를 고려하시는 분들이라면, 위 ETF 중 각자의 성향을 보다 더 잘 반영한 상품을 선택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수수료 면에서는 TIGER 글로벌메타버스액티브가 0.75%로 가장 높은 부분은 있지만, 이 상품에 투자할 예정입니다. 현재 기준 규모 면에서도 가장 큰 부분도 있지만, 구성 부분에서 메타버스에 특화된 기업들이 더 많이 보여서 개인적으로는 더 관심이 가네요. 그리고 별도로 S&P 500 관련 ETF와 FANG ETF에도 투자를 하고 있어서, 조금이나마 더 차별화되는 종목에 투자를 하자는 판단에서 결정하게 되었어요. 

 

그럼 오늘도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는 글이 되었길 바라며, 열심히 공부해서 성투하는 주린이가 되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